부산

검색
  • 0
닫기

[연말결산 ③] 불황 속 부산 간판기업들 잇단 수난, 위기의 부산경제..

0

- +

부산 매출 1위 기업 르노삼성, 1년여 걸친 장기파업 사태로 생산 절벽 직면
한진중공업은 필리핀 수빅 조선소 기업회생 절차로 대외 신인도 흔들
일본 수출 규제에 부산 본사 LCC 에어부산 등 지역 관광·여객운송업계 경영 위기

르노삼성 부산공장의 자동차 생산 모습 (사진 = 자료사진)

 

부산CBS는 부산지역 2019년 한해를 정리하는 결산 기획보도를 6차례에 걸쳐 마련했다.

오늘은 세 번째 순서로 부산의 간판 기업들이 줄줄이 경영난에 빠지고 일본 수출규제를 비롯한 대내외 악재로 순탄치 않았던 부산경제의 지난 1년을 돌아봤다.


올해 부산경제의 가장 큰 시련 중 하나는 매출 1위 기업 르노삼성자동차의 장기 파업 사태였다.

장장 1년여 동안 60여 차례 반복된 부분파업으로 완성차 생산 차질을 빚은 르노삼성은 3천억원이 넘는 직접 피해를 입었고, 부품협력업체도 수백억원대 피해가 확산되며 지역 경제는 큰 시름에 빠졌다.

이 파업으로 르노삼성은 일본 닛산 위탁생산 물량을 비롯해, 내수와 수출이 23.3%나 급감하며 생산 절벽에 몰린 것은 물론, 시장의 신뢰와 부산공장의 경쟁력에도 치명타를 입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과거 조선산업 호황 시절 부산 매출 1위 기업으로 부산경제의 맏형 역할을 했던 한진중공업도 올해 자회사인 필리핀 수빅조선소 경영난으로 기업 회생절차 개시와 주식거래 정지 등을 겪으며 대외신인도가 크게 흔들렸다.

지금은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이 출자전환으로 경영정상화에 나서고 특수선 건조에 특화한 영도조선소와 건설부문으로 재기의지를 다지고 있지만, 아직은 부산경제의 초라한 현주소를 보여주듯 이렇다할 존재감을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부산 경제를 뒤흔든 또 한가지는 일본정부의 한국 수출규제와 국내에서 번진 일본 불매운동이다.

일본과 연관된 관광과 여객 산업 비중인 높은 부산은 직격탄을 맞았고, 특히 저비용항공사 에어부산은 8년만에 수백억원대 적자에 시달리며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부산이 유독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깝다 보니 일본 불매운동의 피해가 유독 심각하다"면서 "뱃길이 다 끊기고 LCC 노선도 대거 단축되거나 아예 없어지며 여객운수업과 관광산업은 위기 상황에 몰렸고, 특히 LCC 업계의 구조조정을 촉직하는 계기로까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한진중공업의 경영 위기를 초래했던 해외 자회사 필리핀 수빅 조선소 옛 모습 (사진 = 자료사진)

 


물론, 긍정적인 이슈들도 없지 않다.

부산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이 열리면서 부산 제조업의 해외 진출과 투자를 촉진하는 계기가 됐고, 도시 위상을 높이는데도 일조했다는 평가다.

IMO 환경규제 강화로 부산 조선기자재산업이 친환경 기술 기업 중심으로 수출 회복 전환점을 맞은 것도 올해 맞은 반가운 소식이다.

동신모텍과 코렌스 등 전기자동차 관련 기업들을 부산에 유치하면서 친환경 자동차 사업의 시동을 건 것도 올 한해 혹독한 어려움을 겪은 부산 자동차부품업계에 한가닥 희망을 주는 대목이다.

이 밖에 부산이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되며 지지부진한 금융중심지 발전 전략에 새로운 동력을 얻은 것도 올 한해 의미있는 성과로 꼽히고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